이태원사고로 재조명 받는 CPR

이태원사고로 재조명 받는 CPR

2022-10-31 13:27:01


CPR은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자로 심폐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멎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를 말한다.

 

제대로 활동하지 못하는 심장의 기능을 시술자가 대신하여 뇌에 혈액을 공급해 뇌사를 방지하는게 목적으로 심장이 멈추고 숨을 쉬지 않는 사람 모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응급처치법이다.

 



 

29일 밤 이태원에서 발생한 압사사고로 약 2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추가적인 사상을 막을 수 있던 것은 현장에 도착한 구조대와 경찰, 시민들의 심폐소생술(CPR)이었다.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심폐소생협회에 따르면 우리의 뇌는 혈액 공급이 4-5분만 중단돼도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고 한다.

 

  • 아래 질병관리청 유튜브 채널에서 올바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사용법을 영상으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youtu.be/q7J2T6MFA9g


 

0. 주변에 위험물이 있는지 확인한다.

1. 환자가 의식이 있는지 확인한다.

2.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리고 119에 신고할 것을 요청한다.

3. 맥박과 호흡을 확인한다.

4. 환자를 반듯하게 눕혀 목을 뒤로 젖히고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5. 머리를 뒤로 젖혀 기도를 확보하고 2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6. 이후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