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 계산방법, 비과세요건

양도세 계산방법, 비과세요건

금융정보

2021-12-02 09:28:14


양도세(양도소득세)란 토지와 같은 부동산이나 주식 등의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발생한 이익에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먼저 양도세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비과세요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세 계산방법

1. 양도차익 = 양도한 금액 - 취득한 금액 -중개수수료 등 경비

2. 양도소득금액 = 양도차익 - 장기보유 특별공제액

3. 양도소득 과세표준 = 양도소득금액-양도소득기본공제

4. 양도소득세 산출세액 = 양도소득과세표준 X 양도소득세율

 

 

국세청 홈택스 주소에 접속하면 기본사항, 거래금액, 기타사항을 입력한 후에 세액을 간편하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직접 계산해보고 싶은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국세청 홈택스

 

teht.hometax.go.kr

 

 



 

 

최근에 여야가 국회에서 1주택자의 양도세 비과세 기준을 9억원 초과에서 12억원 초과로 높이는 소득세법 개정안에 합의했습니다. 2022년부터는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세는 12억으로 완화됩니다.

 

 

양도세 비과세요건

1세대가 양도일 현재 국내에 1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로서 2년 이상 보유한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17.8.3. 이후 취득 당시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주택은 거주기간이 2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21.1.1 이후 2주택 이상(일시적 2주택 제외)을 보유한 1세대의 경우 다른 주택을 처분하고 최종적으로 1주택만을 보유하게 된 날부터 보유기간을 기산합니다.

-주택에 딸린 토지가 도시지역 안에 있으면 주택정착 면적의 5배까지, 도시지역 밖에 있으면 10배까지를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1세대 1주택의 범위로 보게 됩니다.

 

 

#양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