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계산기, 만 나이 도입되면 바뀌는 일상

만 나이 계산기, 만 나이 도입되면 바뀌는 일상

2022-04-12 10:59:26


 



만 나이 계산기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법적·사회적 나이 계산법을 '만 나이' 기준으로 통일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방안이 확정되면 생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의 경우 최대 두 살씩 어려지게 되는데 아래에서 만 나이 계산하는 방법과 만 나이 도입으로 인해 바뀌는 일상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만 나이 계산하는 법▷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만 나이 계산기로 손쉽게 만 나이를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출생일"에 자신의 생년월일을 입력하면 만 나이와 띠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새롭게 바뀌는 만 나이를 계산하고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만 나이 계산기

 

만 나이 도입, 바뀌는 일상

대부분 국가에서는 0세부터 시작해 각자 생일을 기준으로 1살씩 추가하는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민법상 공식적으로 만 나이를 쓰고 있으나 병역법과 청소년 보호법, 초중등교육법, 민방위기본법, 향토예비군설치법 등에서는 '연 나이'를 적용해왔습니다.

 

병역법 제2조 제2항은 '이 법에서 병역의무의 이행시기를 연령으로 표시한 경우 ○○세부터란 그 연령이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를, ○○세까지란 그 연령이 되는 해의 12월 31일까지를 말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청소년보호법 제2조 제1호도 '청소년이란 19세 미만인 사람을 말합니다. 다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소득세법에서도 연말정산 혼선과 과다공제 등을 막기 위해 연 나이를 사용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