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년희망적금이란 대한민국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정부에서 저축장려를 위해 만든 적금을 말하며 2년 만기를 채우게 되면 정부에서 저축 장려금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2022년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은행별 혜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하기
청년희망적금을 취급하는 은행은 아래 표와 같으며 아래 링크를 통해 이동하면 바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은행 | Android | IOS |
국민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신한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하나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우리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농협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기업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부산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대구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광주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전북은행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제주은행 | 바로가기 | - |
청년희망적금 은행별 혜택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
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의 최대 우대 금리는 연 1%입니다. 급여 이체 등록과 국민은행 계좌 첫 거래시에 1%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으며 첫거래 기준은 신규일 기준 예적금 상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급여이체, 자동이체, 첫 거래의 우대금리는 각각 연 0.5%, 0,3%, 0.5%입니다.
신한은행 청년희망적금
신한은행 청년희망적금의 최대 우대금리는 연 1%입니다. 소득 이체 실적 50만원 이상이 있거나 직전 1년 동안 신한은행 적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0.5% 이율 머니버스 가입하고 금융자산 1개 이상 연결한 경우에 0.3%, 신한인증서(신한Sign) 발급 시에 0.2% 우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농협은행 청년희망적금
농협은행 청년희망적금의 최대 우대금리는 1.0%입니다. 12개월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 0.5%, 직전 1년 동안 예적금을 보유하지 않은 경우 0.3%, NH농협 개인신용,체크카드 이용 실적 월 평균 20만원 이상 0.2%의 우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은행 청년희망적금
기업은행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0.9%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6개월 이상 급여 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 0.3%, 300만원 이상 카드 이용 실적이 있을 경우 0.3%, 종이 통장 미발행인 사람은 0.3%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습니다.
하나은행 청년희망적금
하나은행 청년희망적금의 최대 우대금리는 0.7%이며 청약을 보유하고 있거나 신규가입하거나 또는 급여이체나 주거래 이체시 또는 신용카드 이용 실적 보유시 각각 0.2%, 마케팅 동의시 0.1%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은행 청년희망적금
우리은행 청년희망적금의 최대 우대금리는 0.7%이며 첫 적금, 첫 카드, 첫 거래, 첫 급여 4개 중에 하나만 해당 한다면 0.5% 이율, 2022년 3월 말까지 청년희망적금 가입 시 0.2%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프로모션
국민은행은 삼성 LG 전자 제품과 신세계 이마트 상품권, 우리은행은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프로모션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리 뿐만 아니라 프로모션이 은행별로 다르기 때문에 조건을 잘 살펴보고 나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